실험 보고서의 형식
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아래의 사항을 참고해 작성하면 된다.
단, 이것은 수강생의 이해를 위한 것이지 강요는 아니다. 자세한 지침은 담당조교에게 문의한다.
보고서는 자신의 실험결과를 남에게 잘 알리기 위한 것이며, 본인 스스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.
결과 보고서
표지 : 보고서의 겉장에는 [실험번호, 제목], [작성자], [작성일자], [담당조교]를 표시한다.
실험목적 : 실험의 목적, 의의 등을 메뉴얼을 기반으로 기술한다.
실험결과 : 이 부분에서는 실험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를 기술한다. 실험 이론에 맞춰 표, 그래프 등에 활용하여 깔끔하게 기술한다. 제 3자가 자신의 실험결과를 알아보기 쉽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표와 그래프의 경우 해당 표/그래프에 대한 간략한 설명(캡션)을 기입하고, 본문에 이에 대한 설명을 반드시 기술하여야 한다.
결과분석 : 결과 보고서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. 이 부분에는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실험에 적용되는 이론에 따라 예측된 결과가 어땠는지, 실제로는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기술한다. 내용은 간단하지만 실험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는데 가장 좋은 잣대가 될 수 있다.
- 결과 분석에는 단순히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하고 오차를 구하는 것부터, 실험 데이터들을 표/그래프를 활용하여 정리함으로써 경향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, 이론에 따라 Fitting을 진행하여 추세선 및 표준편차를 구하는 것 등이 있다.
질문 : 매뉴얼에 있는 질문을 실험을 진행하면서 알게 된 사실과 참고문헌을 활용해서 답변을 한다.
토의 : 실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한다. 자유롭게 기술하되 객관성과 논리성을 잃지 않도록 한다. 또한 이론을 다시 첨가하는 등의 불필요한 부분은 없는지 작성 후 스스로 검토하여야 한다.
1. 실험 검토: 진행한 실험에서 확인하고자 한 것(실험 목적)을 확인하였는지 기술한다. 잘 확인한 부분과 그렇지 못했던 부분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.
2. 오차 분석 및 개선 방안: 앞의 실험 검토에서 잘 확인한 부분과 확인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. 실험에 대한 개선점을 기술한다.
3. 이론을 확인할 다른 실험 제안: 실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다른 실험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기술한다. 실험에서 진행한 것과 정확히 동일한 물리적 현상을 재현할 필요는 없으며, 관련된 물리적 현상 또한 가능하다.
4. 응용 가능성: 실험으로 확인한 물리 법직이 어디에 사용되고 있으며,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기술한다. 실생활이나 공학적인 부분, 다른 물리실험이나 이론에 적용될 수 있는 부분 등등을 기술한다.
참고문헌 : 자세하게 기입해야 한다.
- 서적의 경우: 저자, 책제목, 출판사, 출판년도, 참고 페이지
- 논문의 경우: 저자명(연도), 논문제목, 학술지명, 권(호), 면수
- 웹 페이지의 경우: 웹사이트명, 웹페이지명, 내용 작성일(최종 수정일), 내용 참고일, URL